애자일 방법론(Agile) : 절차보다는 사람 중심,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적응하면서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신속 적응적 경량 개발 방법론. 개발 기간이 짧고 신속하며, 워터폴에 대비되는 방법론. 개발과 함께 바로 피드백을 받아 유동적으로 개발 가능
럼바우의 데이터 모델링 :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모델링하는 방법론
(1) 객체 모델링(Object Modeling) : 정보 모델링(Information Modeling)이라고도 함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객체를 찾고 객체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ER 다이어그램을 만드는 과정까지의 모델링, 가장 중요하며 선행되어 진행
(객체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표현)
(2) 동적 모델링(Dynamic Modeling) :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객체들 사이의 제어 흐름,
동작 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표현하는 모델링 (상태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표현)
(3) 기능 모델링(Functional Modeling) : 프로세스들의 자료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 표현하는 모델링
(자료 흐름도(DFD)를 활용하여 표현)
소프트웨어 생명주기(SDLC)모델 : 시스템의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절차
1. 요구사항 분석 :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상충할 수도 있는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변경된 제품에 부합하는 요구와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2. 설계 : 시스템 명세 단계에서 정의한 기능을 실제 수행할 수 있도록 수행 방법을 논리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3. 구현 : 설계 단계에서 논리적으로 결정한 문제 해결 방법을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실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단계
4. 테스트 : 시스템이 정해진 요구를 만족하는지, 예상과 실제 결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검사하고 평가하는 단계
5. 유지보수 : 시스템이 인수되고 설치된 후 일어나는 모든 활동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종류
폭포수 모델 : 소프트웨어 개발시 각 단계를 확실히 마무리 지은 후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모델
프로토타이핑 모델 : 고객이 요구한 주요 기능을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여,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소프트웨어를 만들어가는 모델
나선형 모델 : 시스템 개발 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완벽한 시스템으로 개발해 나가는 모델
반복적 모델 : 구축 대상을 나누어 병렬적으로 개발 후 통합하거나, 반복적으로 개발하여 점증 완성시키는 모델
'Study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6) - 1단원 종합① (0) | 2022.06.20 |
---|---|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5) - 요구사항 (0) | 2022.06.17 |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4) - 디자인 패턴 (0) | 2022.06.16 |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3) - 애자일 방법론, 비용 산정 모델, 프로젝트 관리 기법 (0) | 2022.05.31 |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2)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XP 가치 (0) | 2022.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