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형과 실수형 간의 형변환
1. 정수형을 실수형으로 변환
(1) 정수를 2진수로 변환
(2) 정규화를 거쳐 실수의 저장형식으로 저장
※ 실수형의 정밀도 제한으로 인해 오차 발생 가능
ex) int(최대 정밀도 10자리)에서 float(최대 정밀도 7자리)로 변환시 오차 발생 가능
8자리 이상의 값을 실수형으로 변환할 경우 double을 사용해야함
2. 실수형을 정수형으로 변환
실수형을 정수형으로 변환시 실수형의 소수점 이하 값은 버려진다
ex) 9.1234567f -> 9
자동 형변환
byte(1byte) -> short(2byte) -> int(4byte) -> long(8byte) -> float(4byte) -> double(8byte)
char(2byte)
산술 변환 : 연산과정에서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형변환
자동 형변환의 규칙
기존의 값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타입으로 자동 형변환
형변환 요약
1. boolean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기본형은 서로 형변환이 가능
2. 기본형과 참조형은 서로 형변환할 수 없음
3. 서로 다른 타입의 변수간의 연산은 형변환을 하는 것이 원칙이나
값의 범위가 작은 타입에서 큰 타입으로의 형변환은 생략 가능
값의 범위가 작은 타입에서 큰 타입으로의 형변환은 생략할 수 있음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의 정석 정리(13) - 단항 연산자 (0) | 2022.05.26 |
---|---|
자바의 정석 정리(12) - 연산자 (0) | 2022.05.26 |
자바의 정석 정리(10) - 형변환 ① (0) | 2022.05.24 |
자바의 정석 정리(9) - 실수형 (0) | 2022.05.23 |
자바의 정석 정리(8) - 정수형 (0) |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