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형(primitive type)
논리형 - boolean
true 와 false 중 하나를 저장가능, 기본값은 false
대답(yes/no), 스위치(on/off) 등의 논리구현에 주로 사용
1bit만으로 충분하지만 자바에서는 데이터 최소단위가 byte이므로 boolean의 크기는 1byte
자바에서는 대소문자를 구분하므로 true or false 만 사용가능
문자형 - char
단 하나의 문자만 저장 가능
문자는 작은 따옴표 ''로 표기
변수에 문자가 저장되는 것이 아닌 문자의 유니코드(정수)가 저장된다
컴퓨터는 숫자밖에 모르기에 모든 데이터를 숫자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문자 'A'의 유니코드는 65이므로 변수에는 65가 저장된다
ex) char ch = 'A' = 65
어떤 문자의 유니코드를 알고 싶으면 char형 변수에 저장된 값을 정수형으로 변환하면 된다
ex) int code = (int)ch; // ch에 저장된 값을 int타입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형변환(casting) : 어떤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특수 문자 : 문자 리터럴
tab : \t
backspace : \b
form feed : \f
new line : \n
carriage return : \r
역슬래쉬(\) : \\
작은따옴표 : \'
큰따옴표 : \"
유니코드(16진수)문자 : \u유니코드 ex) char a='\u0041'
char타입의 표현방식
char타입의 크기는 2 byte(=16 bit), 16자리의 2진수 즉 2^16(65536)개의 코드 사용 가능
char타입에 저장되는 값인 유니코드는 모두 양수(0 포함)이므로 범위는 0 ~ 65535 를 가짐
정수형인 short은 절반을 음수표현에 사용하므로 -32768 ~ 32767을 범위로 가짐
16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정수의 개수 : 2^16(65536개)
short타입의 표현범위 : -2^15 ~ 2^15 - 1 (-32768 ~ 32767)
char 타입의 표현범위 : 0 ~ 2^16 - 1 (0 ~ 65535)
println() 변수의 타입에 따라 결과값이 다름
정수형 : 10진수로 해석해 출력
문자형 : 유니코드 문자를 출력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의 정석 정리(8) - 정수형 (0) | 2022.05.22 |
---|---|
자바의 정석 정리(7) - 아스키와 유니코드 (0) | 2022.05.20 |
자바의 정석 정리(5) - 진법과 보수 (0) | 2022.05.19 |
자바의 정석 정리(4) - 실수형 출력 (0) | 2022.05.18 |
자바의 정석 정리(3) - Scanner (0) |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