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서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문장들을 하나로 묶은 것
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
1. 높은 재사용성(reusability)
2. 중복된 코드의 제거
3. 프로그램의 구조
메서드의 선언과 구현
선언부(header)와 구현부(body)로 구성
메서드 선언부
반환 타입, 메서드 이름, 매개변수 선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개변수 선언
메서드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값들*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것, 필요한 값의 개수만큼 변수를 선언하며 각 변수간의 구분은 쉼표','를 사용한다. 두 변수 타입이 같아도 변수 타입을 생략할 수 없다. 매개변수의 개수 제한은 거의 없으며, 값의 개수가 많을 경우 배열이나 참조변수를 사용하면 된다. 매개변수도 메서드 내에 선언된 것으로 간주되므로 지역변수이다.
메서드의 이름
메서드는 특정작업을 수행하므로 보통 동사를 사용하며, 기능을 알기 쉽도록 함축적이면서 의미있게 이름을 지어야 한다.
반환타입
메서드의 작업수행 결과(출력)인 반환값의 타입을 적는다. 반환값이 없는 경우 void를 사용한다.
메서드의 구현부
메서드의 선언부 다음에 오는 괄호 { }를 뜻한다. 메서드를 호출했을 떄 수행될 문장들을 넣는다.
return문
메서드의 반환타입이 'void'가 아닌 경우, 구현부{ }안에 'return 반환값;' 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작업 수행 결과인 반환값을 호출한 메서드로 전달하며, 이 값의 타입은 반환타입과 일치하거나 적어도 자동 형변환이 가능해야 한다. return문은 단 하나의 값만 반환 가능(입력(매개변수)은 여러 개일 수 있으나 출력(반환값)은 최대 하나만 허용된다.
지역변수
메서드 내에 선언된 변수
지역변수는 해당 메서드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므로 다른 메서드에서도 동일한 이름의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의 정석 정리(29) - 클래스와 인스턴스 (0) | 2022.06.25 |
---|---|
자바의 정석 정리(28) - 메서드 ② (0) | 2022.06.17 |
자바의 정석 정리(26) - 변수 (0) | 2022.06.15 |
자바의 정석 정리(25) - 객체지향언어 (0) | 2022.06.15 |
자바의 정석 정리(24) - 다차원 배열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