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타입
기본형 변수 : 실제 데이터 값을 저장
논리형(boolean : 1byte), 문자형(char : 2byte), 정수형(int : 4byte, short : 2byte, byte : 1byte, long : 8byte), 실수형(float : 4byte, double : 8byte)
참조형 변수 : 주소 값을 가짐
클래스의 이름이 참조변수의 타입이 됨 ex) 클래스 이름 변수 이름;
실수형의 정밀도
float : 7자리
double : 15자리
상수(constant) : 변수와 달리 값이 달라지지 않음
변수 타입 앞에 final을 적어 선언 및 초기화를 진행해야됨
프로그래밍에서의 정의
변수(variable) : 하나의 값을 지정하기 위한 공간
상수(constant) :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리터럴(literal) :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
정수형
long : 접미사 'l' or 'L'
int : 접미사 X (short, byte도 동일)
실수형
float : 접미사 'f' or 'F'
double : 접미사 'd' or 'D'
16진수 : 접두사 '0x' or '0X'
8진수 : 접두사 '0'
2진수 : 접두사 '0b' or '0B'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의 정석 정리(6) - 기본형 타입 (0) | 2022.05.19 |
---|---|
자바의 정석 정리(5) - 진법과 보수 (0) | 2022.05.19 |
자바의 정석 정리(4) - 실수형 출력 (0) | 2022.05.18 |
자바의 정석 정리(3) - Scanner (0) | 2022.05.18 |
자바의 정석 정리(2) - 리터럴과 지시자 (0) | 202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