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칙 연산자(+, -, *, /)
※ 피연산자가 정수형인 경우 나누는 수로 0을 사용할 수 없다 (오류 발생)
부동 소수점값인 0.0f, 0.0d로 나누는 것은 가능하지만 결과는 무한대(Infinity)
크기가 작은 자료형의 변수를 큰 자료형의 변수에 저장할 때는 자동으로 형변환이 된다
but 큰 자료형의 값을 작은 자료형의 변수에 저장하려면 명시적으로 형변환 연산자를 사용해서 변환해야 한다
문자는 유니코드로 바뀌어 저장되며 정수간의 연산과 동일하다
문자 '2' 를 숫자로 변환하려면 문자 '0' 을 빼주면 된다
ex) '2' - '0' -> 50 - 48 -> 2
상수 또는 리터럴 간의 연산은 컴파일 시에 컴파일러가 계산해 결과를 도출한다
(수식에 변수가 들어가 있는 경우 컴파일러가 미리 계산 할 수 없으므로 형변환을 해야한다)
Math.round() : 매개변수로 받은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고 결과를 정수로 돌려주는 메서드
나머지 연산자(%)
나눗셈처럼 나누는 수로 0을 사용할 수 없음, 피연산자로 정수만 허용
짝수, 홀수, 배수 검사 등에 주로 사용
(나누는 수를 음수로도 허용, but 부호 무시)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의 정석 정리(16) - 비트 연산자 (0) | 2022.05.28 |
---|---|
자바의 정석 정리(15) - 비교 연산자 (0) | 2022.05.27 |
자바의 정석 정리(13) - 단항 연산자 (0) | 2022.05.26 |
자바의 정석 정리(12) - 연산자 (0) | 2022.05.26 |
자바의 정석 정리(11) - 형변환 ② (0) | 2022.05.25 |